맨위로가기

엄 (성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엄(嚴)씨는 중국에서 유래된 성씨로, 201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 50번째로 많은 성씨이다. 영월 엄씨가 대표적인 본관이며, 시조는 당 현종 때 신라에 파견된 엄림의이다. 고려 시대에는 부지밀직사사 엄수안, 판전의시사 엄공근 등이 있었고, 조선 시대에는 개국공신 엄유온, 성종의 후궁 귀인 엄씨, 문과 급제자 30명을 배출했다. 또한 고종의 후궁 순헌황귀비와 영친왕 이은이 엄씨 가문에서 나왔다. 현대에는 스포츠, 연예, 예술, 문학, 학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엄씨 성을 가진 인물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북한에도 엄씨가 비교적 많이 분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엄 (성씨)
기본 정보
한글
한자
로마자 표기Eom
매큔-라이샤워 표기Ŏm
성씨 정보
기원당나라 예술가 후손
주요 본관영월 엄씨
통계
201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144,526명

2. 역사

엄(嚴)씨는 중국에서 유래된 성씨이다. 시조는 당 현종의 명을 받아 신라 경덕왕 때 한국에 파견된 엄림의(嚴林義)이다.[4] 그는 한나라 학자 엄자릉(嚴子陵)의 후손으로, 한국에서는 엄자능으로 알려져 있다.

영월 엄씨(寧越 嚴氏)의 시조 '''엄림의'''(嚴林義)는 당 현종 때 파락사(波樂使)로서 고려에 동래하여 내성군(奈城郡)에 안주하였다고 한다. 그의 아들 엄태인(嚴太仁)은 영월에 살면서 군기공파(軍器公派), 엄덕인(嚴德仁)은 한양으로 이주하여 복야공파, 엄처인(嚴處仁)은 함경도로 이주하여 문과공파조(文科公派祖)가 되었다.

고려조에 엄수안(嚴守安)이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에 이르렀고,[6] 엄공근(嚴公瑾)은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 보문각제학(寶文閣提學)을 역임하였다.

11세 엄유온(嚴有溫)이 조선의 개국공신으로서 좌군동지총제(左軍同知摠制)를 역임하였고, 그의 증손녀가 성종의 후궁인 귀인 엄씨이다. 귀인 엄씨는 조선 성종의 후궁이 되었으나, 권력을 탐하여 조선 연산군에 의해 억울하게 살해되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0명을 배출하였다. 16세 엄흔(嚴昕)이 중종 때 홍문관전한(典翰)을 지냈고, 엄흔의 현손인 엄집(嚴緝)은 숙종 때 우참찬(右參贊)에 이르렀다. 엄집의 손자 엄숙(嚴璹)이 영조 때 대사헌(大司憲)에 올랐고, 엄숙의 손자 엄도(嚴燾)는 순조 때 대사간(大司諫)을 역임하였다. 25세 엄석정(嚴錫鼎)은 고종 때 이조판서를 지냈다. 엄진삼(嚴鎭三)의 딸이 고종 후궁 순헌황귀비(純獻皇貴妃)가 되었고, 엄귀비의 아들이 황태자가 된 영친왕(英親王)이다. 순헌황귀비는 고종의 후궁이 되어,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영친왕 이은을 낳아, 조선 왕조의 마지막을 함께 하였다.

2. 1. 중국

엄(嚴)씨는 중국 백가성 제27위이다.

후한 광무제의 친구였던 '''엄광'''(嚴光; 엄자릉(嚴子陵))은 회계(會稽) 여요(餘姚; 현 절강성(浙江省) 위야오시(余姚市)) 출신이며 장(莊)씨였는데,[5] 광무제가 집권한 뒤에 관직을 거절하고 초야에 묻혀 살자 광무제는 장광을 그리워하여 그의 아들 이름을 유장(劉莊)이라고 지었다. 명제가 집권한 뒤 황제의 이름을 피휘하여 엄(嚴)씨로 바꾸게 하였다.

전국시대 한나라 대신 '''엄수'''(嚴遂)는 양나라 출신이다. 전한 무제 때 문인 '''엄조'''(嚴助) 등이 있다. 그 외 소수민족 시버족, 투족, 이족에서도 나타난다.

2. 1. 1. 기원

엄(嚴)씨는 중국 백가성 제27위이다.

후한 광무제의 친구였던 '''엄광'''(嚴光; 엄자릉(嚴子陵))은 회계(會稽) 여요(餘姚; 현 절강성(浙江省) 위야오시(余姚市)) 출신이며 장(莊)씨였는데,[5] 광무제가 집권한 뒤에 관직을 거절하고 초야에 묻혀 살자 광무제는 장광을 그리워하여 그의 아들 이름을 유장(劉莊)이라고 지었다. 명제가 집권한 뒤 황제의 이름을 피휘하여 엄(嚴)씨로 바꾸게 하였다.

전국시대 한나라 대신 '''엄수'''(嚴遂)는 양나라 출신이다. 전한 무제 때 문인 '''엄조'''(嚴助) 등이 있다. 그 외 소수민족 시버족, 투족, 이족에서도 나타난다.

2. 1. 2. 주요 인물

엄(嚴)씨는 중국 백가성 제27위이다.

후한 광무제의 친구였던 '''엄광'''(嚴光; 엄자릉(嚴子陵))은 회계(會稽) 여요(餘姚; 현 절강성(浙江省) 위야오시(余姚市)) 출신이며 장(莊)씨였다.[5] 광무제가 집권한 뒤에 관직을 거절하고 초야에 묻혀 살자 광무제는 장광을 그리워하여 그의 아들 이름을 유장(劉莊)이라고 지었다. 명제가 집권한 뒤 황제의 이름을 피휘하여 엄(嚴)씨로 바꾸게 하였다.

전국시대 한나라 대신 '''엄수'''(嚴遂)는 양나라 출신이다. 전한 무제 때 문인 '''엄조'''(嚴助) 등이 있다. 그 외 소수민족 시버족, 투족, 이족에서도 나타난다.

2. 2. 한국

엄(嚴)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144,425명으로 조사되어 성씨 인구 순위 50위이다.

'''영월 엄씨'''(寧越 嚴氏)의 시조 '''엄림의'''(嚴林義)는 당 현종 때 파락사(波樂使)로서 고려에 동래하여 내성군(奈城郡)에 안주하였다고 한다. 그의 아들 엄태인(嚴太仁)은 영월에 살면서 군기공파(軍器公派), 엄덕인(嚴德仁)은 한양으로 이주하여 복야공파, 엄처인(嚴處仁)은 함경도로 이주하여 문과공파조(文科公派祖)가 되었다. 엄림의는 한나라 학자 엄자릉(嚴子陵)의 후손으로, 한국에서는 엄자능으로 알려져 있다.[4]

고려조에 엄수안(嚴守安)이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에 이르렀고,[6] 엄공근(嚴公瑾)은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 보문각제학(寶文閣提學)을 역임하였다.

11세 엄유온(嚴有溫)이 조선의 개국공신으로서 좌군동지총제(左軍同知摠制)를 역임하였고, 그의 증손녀가 성종의 후궁인 귀인 엄씨이다. 귀인 엄씨는 조선 성종의 후궁이 되었으나, 권력을 탐하여 조선 연산군에 의해 억울하게 살해되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0명을 배출하였다. 16세 엄흔(嚴昕)이 중종 때 홍문관전한(典翰)을 지냈고, 엄흔의 현손인 엄집(嚴緝)은 숙종 때 우참찬(右參贊)에 이르렀다. 엄집의 손자 엄숙(嚴璹)이 영조 때 대사헌(大司憲)에 올랐고, 엄숙의 손자 엄도(嚴燾)는 순조 때 대사간(大司諫)을 역임하였다. 25세 엄석정(嚴錫鼎)은 고종 때 이조판서를 지냈다. 엄진삼(嚴鎭三)의 딸이 고종 후궁 순헌황귀비(純獻皇貴妃)가 되었고, 엄귀비의 아들이 황태자가 된 영친왕(英親王)이다. 순헌황귀비는 고종의 후궁이 되어,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영친왕 이은을 낳아, 조선 왕조의 마지막을 함께 하였다.

2. 2. 1. 영월 엄씨의 기원

영월 엄씨(寧越 嚴氏)의 시조 '''엄림의'''(嚴林義)는 당 현종 때 파락사(波樂使)로서 고려에 동래하여 내성군(奈城郡)에 안주하였다고 한다. 그의 아들 엄태인(嚴太仁)은 영월에 살면서 군기공파(軍器公派), 엄덕인(嚴德仁)은 한양으로 이주하여 복야공파, 엄처인(嚴處仁)은 함경도로 이주하여 문과공파조(文科公派祖)가 되었다. 엄림의는 한나라 학자 엄자릉(嚴子陵)의 후손으로, 한국에서는 엄자능으로 알려져 있다.[4]

2. 2. 2. 고려 시대

영월 엄씨의 시조 '''엄림의'''(嚴林義)는 당 현종 때 파락사(波樂使)로서 고려에 동래하여 내성군(奈城郡)에 안주하였다고 한다. 그의 아들 엄태인(嚴太仁)은 영월에 살면서 군기공파(軍器公派), 엄덕인(嚴德仁)은 한양으로 이주하여 복야공파, 엄처인(嚴處仁)은 함경도로 이주하여 문과공파조(文科公派祖)가 되었다.

고려조에 엄수안(嚴守安)이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에 이르렀고,[6] 엄공근(嚴公瑾)은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 보문각제학(寶文閣提學)을 역임하였다.

2. 2. 3. 조선 시대

영월 엄씨(寧越 嚴氏)의 시조 '''엄림의'''(嚴林義)는 당 현종 때 파락사(波樂使)로서 고려에 동래하여 내성군(奈城郡)에 안주하였다고 한다. 그의 아들 엄태인(嚴太仁)은 영월에 살면서 군기공파(軍器公派), 엄덕인(嚴德仁)은 한양으로 이주하여 복야공파, 엄처인(嚴處仁)은 함경도로 이주하여 문과공파조(文科公派祖)가 되었다.

고려조에 엄수안(嚴守安)이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에 이르렀고,[6] 엄공근(嚴公瑾)은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 보문각제학(寶文閣提學)을 역임하였다.

11세 엄유온(嚴有溫)이 조선의 개국공신으로서 좌군동지총제(左軍同知摠制)를 역임하였고, 그의 증손녀가 성종의 후궁인 귀인 엄씨이다. 귀인 엄씨는 조선 성종의 후궁이 되었으나, 그의 뒤를 이은 조선 연산군에 의해 살해되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0명을 배출하였다. 16세 엄흔(嚴昕)이 중종 때 홍문관전한(典翰)을 지냈고, 엄흔의 현손인 엄집(嚴緝)은 숙종 때 우참찬(右參贊)에 이르렀다. 엄집의 손자 엄숙(嚴璹)이 영조 때 대사헌(大司憲)에 올랐고, 엄숙의 손자 엄도(嚴燾)는 순조 때 대사간(大司諫)을 역임하였다. 25세 엄석정(嚴錫鼎)은 고종 때 이조판서를 지냈다. 엄진삼(嚴鎭三)의 딸이 고종 후궁 순헌황귀비(純獻皇貴妃)가 되었고, 엄귀비의 아들이 황태자가 된 영친왕(英親王)이다. 이 가문의 또 다른 인물은 고종의 후궁이 되어,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영친왕 이은의 어머니가 되었다.

3. 현대의 엄씨

3. 1. 스포츠

엄다운(1985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엄원상(1999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엄지성(2002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엄천호(1992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이다. 엄홍길(1960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등반가이다. 엄지은(1987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자유형 레슬링 선수이다. 엄민지(1991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컬링 선수이다. 엄상백(199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엄영섭(196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전 사이클 선수이다. 엄복동(1892–1951)은 한국의 사이클 선수이다. 엄도현(2003년 출생)은 대한민국 남자 체조 선수이다. 엄혜원(1991년 출생)은 대한민국 배드민턴 선수이다. 엄효원(1986년 출생)은 대한민국 핸드볼 선수이다. 엄인영(1971년 출생)은 대한민국 사이클 선수이다. 엄진한(1964년 출생)은 대한민국 레슬링 선수이다. 엄파용(1931–1995)은 대한민국 육상 선수이다. 엄수연(2001년 출생)은 대한민국 아이스하키 선수이다.

3. 2. 연예/방송

엄앵란(193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엄천호(1992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이다. 엄다운(1985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엄홍길(1960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등반가이다. 엄효섭(196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엄지은(1987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자유형 레슬링 선수이다. 엄기준(197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엄민지(1991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컬링 선수이다. 엄상백(199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엄상현(1971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엄태화(1980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및 시나리오 작가이다. 엄태정(1938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1세대 추상 조각가이다. 엄원상(1999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엄영섭(196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전 사이클 선수이다. 엄복동(1892–1951)은 한국의 사이클 선수이다. 유아인(본명 엄홍식, 198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갤러리스트이다. 엄현경(198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엄지원(1977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엄정화(1969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이다. 엄태구(1983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엄태웅(197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엄도현(2003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남자 체조 선수이다. 엄혜원(1991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이다. 엄현정(1970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엄효원(198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핸드볼 선수이다. 엄인영(1971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사이클 선수이다. 엄지성(2002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엄진한(196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레슬링 선수이다. 엄파용(1931–1995)은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이다. 엄수연(2001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아이스하키 선수이다. 엄원태(1955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엄기영(1951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유명 앵커이다.

3. 3. 예술

엄앵란(193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엄홍길(1960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등반가이다. 엄효섭(196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엄기준(197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엄상현(1971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엄태화(1980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및 시나리오 작가이다. 엄태정(1938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1세대 추상 조각가이다. 엄영섭(196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전 사이클 선수이다. 엄복동(1892–1951)은 한국의 사이클 선수이다. 유아인(본명: 엄홍식, 198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갤러리스트이다. 엄현경(198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엄지원(1977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엄정화(1969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이다. 엄태구(1983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엄태웅(197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엄도현(2003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남자 체조 선수이다. 엄혜원(1991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이다. 엄현정(1970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엄효원(198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핸드볼 선수이다. 엄인영(1971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사이클 선수이다. 엄진한(196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레슬링 선수이다. 엄파용(1931–1995)은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이다. 엄수연(2001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아이스하키 선수이다. 엄원태(1955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3. 4. 문학

엄씨성을 가진 문학 분야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엄원태 (1955년 출생),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3. 5. 학술

엄씨성을 가진 학술 분야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엄상일 (1976년 출생), 대한민국의 수학자이다.
  • 엄원태 (1955년 출생),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 엄태정 (1938년 출생),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1세대 추상 조각가이다.

3. 6. 북한

엄씨는 대한민국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더 많이 분포하고 있다. 1985년에 태어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축구 선수 엄정란과 1991년에 태어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도 선수 엄윤철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성씨의 고향(10)영월 엄씨 https://news.joins.c[...] 1982-03-19
[2] 웹사이트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결과 보도자료 http://www.kostat.go[...]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9-05-28
[3] 웹사이트 엄정화·엄앵란 톱스타 배출한 당나라 예술가 후손 http://www.skyedaily[...] 2020-04-13
[4] 웹사이트 엄 http://www.doopedia.[...] 2020-04-13
[5] 중국인물사전 엄광 https://terms.naver.[...]
[6] 서적 《고려사》 권106, 열전19 http://db.history.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